티스토리 뷰

영화 오펜하이머에 대해 정보 그리고 줄거리 그리고 해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각 내용들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영화-오펜하이머-포스터
오펜하이머

영화 오펜하이머 정보

영화 오펜하이머는 3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으로서 쿠키 영상은 없으며 원자폭탄의 아버지이자 물리학자인 오펜하이머의 내용을 다룬 전기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작품입니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인셉션", "인터스텔라", "다크나이트" 등과 같은 작품들에서 많은 관객들의 흥미를 이끌어낸 감독으로서, CG기술을 최대한 배제하여 촬영하는 등 아날로그적인 촬영 기법으로 이름을 알려왔습니다. 주인공인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미국의 극비인 맨해튼 프로젝트의 책임자로서 원자폭탄을 완성하는 과정들을 담아냈습니다. 또한 주인공의 내적 갈등이 이야기 전개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주인공의 시점은 컬러 화면으로 연출하고 다른 등장인물인 스트로스의 시점은 컬러 화면으로 교차하며 연출하였습니다.

줄거리

주인공인 오펜하이머(킬리안 머피 역)는 원자폭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물리학자로서 레슬리 그로브스(맷 데이먼 역)가 그를 맨해튼 프로젝트의 책임자로 발탁하게 됩니다. 그들은 각 분야의 사람들을 비밀 기지인 로스앨러모스로 모으며 원자폭탄 개발에 힘쓰게 됩니다. 맨해튼 프로젝트는 나치보다 미국이 먼저 핵무기를 완성해야 하는 극비의 긴박함이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오펜하이머는 각 분야의 사람들을 모으고 그 동료들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그들의 가족까지 모두 모아 집을 제공합니다. 그는 일본에 투하한 원자폭탄이 성공적으로 터지게 된 이후 원자폭탄의 위력에 대해 우려하기 시작합니다. 그는 대통령을 만나 우려 사실을 이야기하지만 대통령은 그에게 진짜 책임자는 자신이라며 그를 내쫓습니다. 오펜하이머는 자신이 원자폭탄을 개발한 천재물리학자가 아닌 필요에 의해 정치적으로 권력의 도구로서 일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이후 그는 스트로스(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역)를 만나게 됩니다. 또한 오펜하이머는 미국 정부로부터 소련의 공산당과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아 청문회에 참석하여 모순적인 질문들에 답하는 장면들이 이어집니다. 한편 스트로스와 관련된 청문회도 이어지는데, 장관후보로서 낙마한 전례가 없었던 청문회였기 때문에 스트로스는 자신감이 넘치는 모습으로 참석합니다. 그러나 스트로스가 오펜하이머를 증오하여 사건들을 조작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는 결국 장관후보에서 낙마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스트로스가 증오하게 된 시초 사건인 오펜하이머와 아인슈타인과의 은밀한 대화 내용이 밝혀지면서 영화는 끝나게 됩니다.

해석

이 작품과 관련하여 2가지 부분으로 해석을 정리하였습니다. 첫 번째 부분은 오펜하이머와 스트로스를 통해 인간의 모순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오펜하이머는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습니다."라는 문구처럼 원자폭탄을 개발한 창조자이지만 개발 이후 죄책감에 휩싸이며 핵무기 사용을 반대한 파괴자이기도 합니다. 그는 하나의 삶을 살면서 사람들의 환호와 비난을 동시에 받게 됩니다. 또한 흑백과 컬러 화면의 교차하여 시점을 대비하는 촬영 기법이 연출되었는데, 이는 기술을 개발하는 오펜하이머와 같은 과학자의 입장과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는 스트로스와 같은 정치인의 입장 차이를 대변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인간은 다채로우면서도 어느 한 부분만 취할 수 없는 모순을 가졌다는 점에서 모두 동일한 인간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부분은 연쇄반응적인 삶입니다. 이 영화의 주요 소재인 원자폭탄은 원자가 반응하여 거대한 에너지로 연쇄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원자의 크기는 매우 작지만 거대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즉, 한 번의 선택 또는 결정이 매우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삶은 선택 또는 결정의 연속이기도 합니다. 그 선태 또는 결정이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의 삶에서도 작용하기도 합니다. 우리 모두 주인공인 오펜하이머처럼 연쇄반응적인 삶을 살고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